불온한 메시지: 이라시블스 18인의 반란과 창조의 순환

Prologue한 장의 사진, 역사를 움직이다​1951년에 뉴욕 LIFE 잡지에 실려 반향을 일으킨 사진 한 장. 이 사진 속에는 당시 예술계 주류였던 모던 아트에 대한 반항적인 자세를 표현한 18인의 미술가들이 등장합니다. The Irascibles 18​Nina Leen(photographer), November 24, 1950, Time Life Pictures/Getty ImagesFront row: Theodoros Stamos, Jimmy Ernst, Barnett Newman, James Brooks, Mark Rothko;Middle row: Richard Pousette-Dart, William Baziotes, Jackson Pollock, Clyfford Still, Robert Motherwell, Bradley Walker Tomlin;Back row: Willem de Kooning, Adolph Gottlieb, Ad Reinhardt, Hedda Sterne 이 사진의 이름은 "The Irascibles 18”입니다. Irascible 단어의 뜻은 “화를 잘내는”으로, 의역하자면 “분노하는 18인”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 사진은 훗날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 분노하는 추상표현주의 예술가 그룹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보수적인 기준과 폐쇄성에 분노하다​어느 날, 하늘은 흐렸고 공기는 습기를 머금고 있었습니다.흐린 빛과 습도가 그대로 느껴지는 듯한 ‘인상’을 표현하는 예술가들이 모이기 시작했죠. ​그들의 작품을 본 한 비평가가 이것은 완성작이 아니라 “Impression”일 뿐이다, 라고 비평하였습니다. 이 비평을 시작으로 인상주의(Impressionism)라는 이름이 탄생했습니다.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 인상, 해돋이 (Impression, Sunrise, 1872), 인상주의 (Impressionism) 예술계에는 인상주의 이후에도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등 새로운 혁신의 불꽃들이 피어올랐습니다. 시간이 흐르며 혁신은 주류가 되고 전통이 되어 더욱 공고해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익숙해진 아름다움에 만족할 때, 다른 한 편에서 분노에 찬 새로운 이들이 탄생하기 시작했습니다.​그들은 'The Irascibles'로 알려지게 됩니다. 이 이름은 그들의 성격과 태도를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예술계의 보수적인 기준과 폐쇄성에 반발하여 뭉쳤습니다. 이 명칭은 뉴욕의 LIFE 잡지가 이 반항적인 예술가들의 사진을 표지에 실으면서 붙여진 것입니다. ​무브먼트는 때로는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형성되기도 하고, 특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모여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1 윌렘 드 쿠닝 (Willem de Kooning ) - No. 5, 1948 2 잭슨 폴록 (Jackson Pollock) - No. 5, 1948 Part 1.보수적인 벽을 허물다: 1950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 도전​1950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은 "American Painting Today"라는 전시를 기획하였습니다. 이 전시는 미국 화가들의 작품을 선보이기 위한 것이었지만, 추상표현주의와 같은 현대적인 미술 경향은 대표적으로 무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현대 예술가들이 배제되었다고 느끼며, 그중 일부는 이에 반발하여 공개적으로 항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이 항의의 일환으로, "The Irascibles"로 알려진 18명의 화가들은 편지를 작성하여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의 전시 정책에 이의를 제기하였습니다. 이 편지에서 그들은 미술관이 보여준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태도를 비판하고, 미술관이 더 포괄적이고 혁신적인 예술 경향을 수용할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또한, 이들은 현대 미술의 다양성과 실험 정신을 인정하고 이를 전시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Open letter to Roland L. Redmond, May 20, 1950, unsigned copy from the Hedda Sterne papers, typed, 28 x 22 cm "The Irascibles"가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 보낸 편지는 1950년에 그들이 주도한 유명한 항의의 일환으로서, 미국 미술계에서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이 항의는 미술계 내에서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으며, 결과적으로 추상표현주의와 같은 현대 미술 운동에 대한 관심과 인정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미술계의 주류 기관들이 현대적인 예술 흐름과 실험적인 작업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켰고, 결국 미술관과 갤러리들은 현대 미술을 향한 접근 방식을 재고하게 되었습니다.​이 사건은 미술계에서 예술가들의 목소리가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서, 예술과 문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The Irascibles"의 행동은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작업과 미술계의 미래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권리와 필요성을 강조하였죠.​ Part 2.추상에서 팝으로: 미술계의 변화와 충돌 "The Irascibles"는 세상에 알려지며 힘을 가지게 됩니다. 그들은 중심에 선 이후에도 예술계의 영원한 반란군이었을까요? 1960년대가 시작되면서 미술계는 한 새로운 변화의 문턱에 섰습니다. 팝아트라는 새로운 물결이 대중문화와 소비 사회를 거울처럼 비추며, 그동안의 미술 양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앤디 워홀과 로이 리히텐슈타인 같은 예술가들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그들의 캔버스로 끌어들여, 그것을 통해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요소들을 강조했습니다.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은 자신들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깊은 주관성과 자유로운 표현, 그리고 심오한 감정 표출이 팝아트의 상업적 이미지 사용과 거리감 있는 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은 팝아트가 미술의 진지함을 손상시키며 너무 상업적이고 경박하다고 비판했습니다.​일부 화가들은 팝아트 작품들이 주요 미술관과 갤러리에 전시되는 것을 반대하며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항의했습니다. 그들은 팝아트가 미술의 근본적인 가치와 심각성을 저하시킨다고 보았고, 이는 미술계 내부에서 상당한 논쟁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세대 간의 충돌은 미술계에서 새로운 논의를 촉발시켰고, 미술이 어떻게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반영하고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습니다.​결국, 이 논쟁은 미술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팝아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미술계의 다양한 경향 사이의 긴장과 상호작용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미술이 계속 진화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Part 3.예술의 힘: The Irascibles가 남긴 교훈​"The Irascibles"의 행동이 드러낸 모순은 예술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를 상징합니다. 그들의 행위는 예술계 내 세대 간의 갈등, 미술의 방향성, 그리고 예술가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철학에 대해 어떻게 충돌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추상표현주의자들이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의 보수적 태도에 항의했던 것은, 미술계에 더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형태를 요구하는 목소리였습니다. 그러나 팝아트의 등장으로 그들이 처음에 요구했던 '현대성'과 '실험성'이 새롭게 표현되었을 때, 기존의 미학적 가치와는 달라 보였을 것입니다. 이는 세대 간의 미학적 가치와 예술에 대한 접근 방식이 어떻게 충돌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갈등의 한 형태입니다. ​3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추상표현주의자들은 예술이 개인의 감정과 깊은 인간 경험을 표현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반면, 팝아트는 일상적이고 상업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대중문화를 반영하고 비판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예술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어떤 형태의 예술이 더 '순수하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습니다. 4 바넷 뉴먼 (Barnett Newman) 추상표현주의자들이 팝아트를 비판하는 것은 그들이 처음에 주장했던 개방성과 포용성의 원칙에 어긋나는 듯 보입니다. 이 모순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철학과 실천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드러내며, 예술 커뮤니티 내에서 지속적인 자기 반성과 비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5 로버트 마더웰 (Robert Motherwell) 이 모든 논점은 예술계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변화하는 생동감 있는 생태계임을 상기시킵니다. 예술가들의 다양한 접근 방식과 미학적 가치가 충돌하는 것은 예술의 다양성과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예술가들이 자신의 원칙과 가치에 대해 일관되게 성찰하고, 다양한 예술 형태를 포용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예술계 전체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6 아돌프 고틀립 (Adolph Gottlieb) 예술의 미래를 위한 목소리: 지속적인 대화의 중요성 "The Irascibles"의 이야기는 예술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을 대표합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예술가의 자유와 창의적 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술가가 자신의 권리와 예술적 신념을 어떻게 옹호하고, 그것이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를 제공합니다. 7 헤드다 스턴 (Hedda Sterne) 예술계의 이러한 사건은 예술가들이 단순히 작품을 만드는 것을 넘어 사회적, 문화적 변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The Irascibles"의 반란은 예술계가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하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Epilogue.한 장의 사진, 나를 움직였습니다. 2010년 어느 봄날, 'The Irascibles 18'의 사진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그 사진 속 한 인물로 살아볼 수 있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하며, 저는 사무실 벽에 그 사진을 걸어두고 많은 시간을 그 앞에서 보냈습니다. 결국 우선 회사를 그만두고 나와 작은 스튜디오를 마련해 새로운 시작을 결심했죠. 사람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특별한 목적보다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바랐습니다.​그렇게 탄생한 크라우디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뉴욕과 서울에서 컨퍼런스 6회, 워크샵 8회, 전시 3회, 공모전, 상영회, 디자인 마켓을 통해 창작자와 대중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2014년에는 서울에서 크라우디드 페스트라는 이름으로 5일간의 페스티벌을 개최했습니다. 25인의 크리에이티브 스피커들의 프레젠테이션(28), 워크샵(9), 토크 세션(3), 자유 공모전(2), 전시(4), 상영회(2)를 통해 예술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풍성하게 나누었습니다. 이 모든 활동의 출발점이 되었던 것은 바로 이 한 장의 사진이었습니다. 매번 컨퍼런스와 세미나를 열 때마다'The Irascibles 18'처럼 단체 사진을 남겼습니다.크라우디드의 무브먼트가 Irascibles의 첫 ‘반란'처럼오래도록 기억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습니다. 이 모든 경험이 제 삶에서 어떤 반란을 일으켰는지는 정확히 말할 수 없지만, 출발점이 되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이 사진 한 장은 저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고,새로운 가능성을 탐험할 용기를 주었습니다.​​- 뉴아더스 Epilogue +​10년이란 시간이 그리 길지 않음에도, 벌써 역사의 한 페이지처럼 느껴지는 것이 참 묘합니다. 크라우디드를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라니, 그것도 흥미로운 도전이 될 것 같네요.​그동안 변화한 세상 속에서 새로운 크라우디드가 어떤 모습으로, 어떤 메시지와 함께 다시 태어날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뛰는 일입니다. 만약 다시 시작한다면 어떤 형태가 될지, 어떤 새로운 사람들과 어떤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날지 기대가 됩니다.​역사 속에 남기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 그것이 바로 크라우디드가 추구할 수 있는 또 다른 모험이 될 것입니다.​Let's RE:CROWDED!​ ​ Appendix​​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추상표현주의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 특히 뉴욕에서 성장한 예술 운동으로, 미국이 처음으로 세계에 영향을 미친 아트 무브먼트이며, 뉴욕이 파리 대신 예술의 중심지가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다양한 반대와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이 운동이 주류 미술계에서 인정받기까지는 몇 가지 주요 논점이 있었습니다:​1. 예술의 정의와 목적에 대한 논쟁추상표현주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형태와 구조를 거부하고 강렬한 색채와 자유로운 브러시워크를 통해 감정과 정신 상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초기 비평가들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예술의 기본적인 정의와 목적에 반한다고 봤습니다. 그들은 예술이 구체적이고 인식 가능한 형태를 통해 아름다움이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추상표현주의의 비구조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을 예술로 인정하기 어려워했습니다.​2. 기술과 숙련에 대한 문제 제기추상표현주의 작품들은 종종 '무질서'하고 '무계획적'으로 비치기도 했습니다. 초기 비평가들은 이러한 작품들이 전통적인 미술 교육에서 강조하는 기술과 숙련을 결여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작품이 예술가의 기술적 능력을 반영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추상표현주의가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3. 감정과 자기표현의 과도한 강조추상표현주의는 개인의 감정과 내면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이는 당시 많은 비평가들이 느끼기에 자기중심적이고 자기만족적인 경향이 있었다고 여겨졌습니다. 이들은 예술이 보다 보편적인 가치와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며, 단순히 개인의 감정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4. 예술 시장과 대중의 수용추상표현주의는 초기에 미술 시장과 대중으로부터 완전히 수용되지 못했습니다. 이 운동이 이해하기 어렵고 접근하기 힘든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과 관람객들은 이러한 예술 형식에 대해 회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운동의 중요성이 점차 인정받게 되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습니다.​이러한 초기 반대 논점에도 불구하고, 추상표현주의는 결국 현대 예술의 핵심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고, 예술에 대한 이해와 접근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추상표현주의 작가들Artists​윌렘 드 쿠닝 (Willem de Kooning) 1대표작: "Woman I" (1950-1952)네덜란드 출신으로, 강렬한 색채와 역동적인 브러시 워크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품은 인간 형태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강렬한 감정을 전달합니다.​잭슨 폴록 (Jackson Pollock) 2대표작: "No. 5, 1948"드립 페인팅 기법으로 유명한 미국의 화가로, 물감을 캔버스 위에 뿌리고 흘리는 방식으로 작업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추상표현주의의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했습니다.​마크 로스코 (Mark Rothko) 3대표작: "Rothko Chapel" (1964)그의 작품은 큰 캔버스에 부드럽고 레이어드된 색채 블록을 사용하여 심오한 감정적 경험을 제공합니다.​바넷 뉴먼 (Barnett Newman) 4대표작: "Vir Heroicus Sublimis" (1950-1951)미니멀리즘과 추상표현주의를 결합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선을 사용하여 영적이고 심오한 경험을 전달합니다.​로버트 마더웰 (Robert Motherwell) 5대표작: "Elegy to the Spanish Republic No. 110" (1971)강렬한 블랙과 화이트의 대비와 드라마틱한 형태로 잘 알려진 미국 화가로, 자신의 감정과 정치적 테마를 탐구합니다.​아돌프 고틀립 (Adolph Gottlieb) 6대표작: "Burst" (1957)심볼리즘과 추상적 요소를 결합하여 강력하고 기호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습니다.​헤드다 스턴 (Hedda Sterne) 7대표작: "New York, N.Y., 1955" (1955)루마니아 출신으로, 뉴욕의 도시 풍경과 산업적 환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추상표현주의 이전에, ​미술계를 지배하던 주요 사조들은 사실주의, 인상주의, 표현주의, 그리고 입체주의 등이었습니다. 이들 각각의 사조는 고유의 특징을 가지며 서로 다른 시대적 맥락과 예술적 목표를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추상표현주의는 이러한 기존 미술 사조에 대한 반응이자, 미술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등장했습니다.​ 사실주의 와 인상주의Realism, and Impressionism​19세기 중반과 말기에 걸쳐 유행했던 사실주의와 인상주의는 각각 현실의 정확한 묘사와 빛과 색채의 변화에 대한 인상을 중시했습니다. 이들은 감각적 경험과 시각적 인상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대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구스타브 쿠르베 (Gustave Courbet)대표작: "돌 깨는 사람들 (The Stone Breakers, 1849)"쿠르베는 사실주의의 선구자로, 사회의 현실적인 측면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을 중요시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일반 노동자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했습니다.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대표작: "인상, 해돋이 (Impression, Sunrise, 1872)"모네는 인상주의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명으로, 빛과 색채의 변화를 포착하여 순간적인 인상을 캔버스에 담았습니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의 빛과 그 효과가 강조됩니다. 표현주의Expressionism​20세기 초, 표현주의는 유럽에서 등장하여 감정과 개인적인 시각을 강조했습니다. 이 운동은 내면의 감정적 경험을 중심으로 색채와 형태를 왜곡시켜 표현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표현주의는 감정과 주관성의 직접적인 표출을 중요시하며, 이는 나중에 추상표현주의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곤 쉴레 (Egon Schiele)대표작: "자화상 (Self Portrait, 1910)"쉴레는 강렬한 감정과 섬세한 라인을 사용하여 인간의 내면과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자주 왜곡되고 과장된 형태로 감정의 깊이를 드러냅니다. 입체주의Cubism​피카소와 조르주 브라크에 의해 발전된 입체주의는 객체를 해체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형태와 공간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관점과 구성 방식을 탈피하려는 시도로, 미술에 있어서의 공간과 형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했습니다.​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대표작: "아비뇽의 처녀들 (Les Demoiselles d'Avignon, 1907)"피카소는 입체주의를 창시한 예술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각도에서 본 객체를 동시에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는 형태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했습니다. 조르주 브라크 (Georges Braque)대표작: "포르투갈 (The Portuguese, 1911)"브라크는 피카소와 함께 입체주의를 발전시킨 중요한 인물로, 그는 구조와 형태의 해체를 통해 물체의 본질을 탐구했습니다. 추상표현주의의 등장​추상표현주의는 위와 같은 사조들과는 다른 접근을 제시했습니다. 이 운동은 특히 표현주의의 감정적 강도와 입체주의의 형태 해체에 영향을 받았지만, 보다 더 자유롭고 주관적인 표현을 추구했습니다.​추상표현주의는 형태를 완전히 해체하고추상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어,예술가의 내면세계와 무의식을 탐구하려는시도를 했습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적, 정치적 혼란과 불안을 반영하는 동시에, 인간 정신의 깊이와 복잡성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결국 추상표현주의는 기존 미술 사조에 대한 반발과 동시에, 현대 미술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요한 움직임이 되었습니다.

NEWOTHERS DESIGN STORE

logo
LOG IN 로그인
  • | SHOP
    • | ABOUT
      • | STORIES
        • | NEW&NOW
          • | SHOP
            • | ABOUT
              • | STORIES
                • | NEW&NOW

                  NEWOTHERS DESIGN STORE

                  logo logo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NEWOTHERS DESIGN STORE

                  logo logo
                  • | SHOP
                    • | ABOUT
                      • | STORIES
                        • | NEW&NOW

                          NEWOTHERS DESIGN STORE

                          logo logo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NEWOTHERS DESIGN STORE

                          logo logo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뉴아더스 | 대표: 박민기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민기 | 이메일: newothersstore@gmail.com

                          주소: 송파구 법원로 92, 7F | 사업자등록번호: 784-24-01743 | 통신판매: 2024-서울송파-2472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